티스토리 뷰

1. 예/적금


통장에 돈을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는 것을 예금이라고 한다. 정기예금은 예금주가 돈을 일정 기간 동안 찾지 않을 것을 약속하고 맡겨두는 것이다. 적금은 일정 기간 매월 일정액을 넣으면서 일정 금액을 계약하는 것이다. 기간이 끝나면 계약 금액을 다시 받는다. 예금보다는 정기 예금, 정기 적금이 은행 입장에서 운용하기가 유리해 이율이 높은 편이다.




2. 펀드

투자전문기관에 돈을 맡기면 전문가가 증권 투자를 하고 여기서 올린 수익을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것이다. 투자신탁회사에서 직접 할 수 있고 은행, 우체국 등에서 대신 팔아준다. 주식을 직접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돈만 내면 전문가가 대신 굴려주는 간접투자방식이다. 원금 손실 위험 여부를 잘 따져봐야 한다.



3. MMF

펀드의 한 종류로 머니마켓펀드(Money Market Fund)의 약자다. 단기자금펀드라고도 불린다.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해 단기 실세금리 오르내림이 수익률에 반영될 수 있다. 환매(투자한 돈을 찾는 행위)가 빠르고 예·적금보다 높은 수익을 낼 수도 있다. MMF는 안정성이 높은 국공채에만 투자하는 상품도 있다. 이 경우 원금손실위험이 낮긴 하지만, 위험이 아예 없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CMA(종합관리계좌)

종합관리계좌인 CMA는 증권사나 종합금융회사에서 이용할 수 있다. 수익률이 높은 편이고 입출금이 자유로운 데다 공과금 자동이체도 돼서 월급통장 대신 쓰이기도 한다. 증권사 수수료 등급에 따라서 이체수수료가 생길 수 있고, 원금 손실 가능성도 있다.


5. ISA

직장이나 사업에서 돈을 버는 사람이 1년에 최대 2000만 원에 만들 수 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다. 주부나 은퇴자, 금융소득이 이미 2000만 원 이상인 사람은 만들 수 없다. ISA는 은행 상품인 예적금, 증권상품인 펀드·ELS·ELD, 보험 등 여러 투자금융상품을 1개 계좌 안에서 운용할 수 있다. 다른 상품보다 금융 소득에 붙는 세금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투자 상품에 따라 수수료를 내야 한다. 이 때문에 절세 혜택보다 수수료를 더 낼 수 있으니 잘 따져봐야 한다.



6. ELF(주가연계펀드)·ELS

ELF와 ELS는 주가에 따라 수익이 생기는 주가연동 상품이다. ELF는 주가지수나 개별종목 주가 변동에 따라 수익이 나는 것으로 ELS에 투자하는 펀드상품이다. ELS는 주가연계증권으로 주로 코스피 200과 같은 주가지수와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MMF, CMA보다 ELF·ELS는 수익률과 원금 손실 위험 모두 큰 편이다.

7. ELD(주가지수연동예금)

ELD는 주가지수에 연동하는 예금 상품이다. 투자금은 정기예금에 넣고 이자만 투자해서 이익을 얻는 것이다. ELD도 원금 손실 위험이 있지만, ELF·ELS보다 안정성이 높다.



8. 주가지수

주식시장 전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만드는 지수다. 한국 종합주가지수는 코스피(KOSPI)다. 우량기업만 보는 코스피 100, 코스피 150부터 상위 200종목만 추린 코스피 200 등 다양하다. 나라별로 미국 S&P, 유로스톡스, 일본 닛케이, 홍콩 항셍지수 등이 있다.


9. 녹인(Knock-in)

ELS에 투자할 때 원금을 잃을 수 있는 수준을 녹인이라고 한다. 원금을 잃을 수 있는 기준점은 녹인 배리어(knock in barrier)다. 기초자산 가격이 녹인 배리어 밑으로 하락한 뒤 만기 전까지 상환 조건을 못 채우면 원금을 잃는다. ELS 상품은 최근 불안한 주식시장 탓에 저조했다. 증권사들은 원금 손실률을 낮추기 위해 녹인 조건을 낮게 맞춘 ELS 상품을 내놓는 추세다.


10. 비과세

세금을 물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금융 투자로 얻는 소득은 이자소득세 등을 내야 한다. 비과세 상품은 금융소득을 특정 수준 이하로 면제해준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ISA는 최대 5년간 200만 원까지 세금을 물리지 않고 초과분에 대해선 9.9%를 다른 금융소득과 분리해 과세한다. 금융소득에 붙는 세금은 최고 38%다.


댓글